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10월 25일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에서의 개막식 및 공연 일정, 한복 체험 행사와 트로트 가수 김수찬 공연 정보!


부산, 전통의 흥으로 물들다

2024 부산종합민속예술제

부산의 전통문화 축제 중 하나인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가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다섯 번째로, 부산의 무형유산을 직접 체험하고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종합축제로, 모든 시민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개막식은 25일 오후 1시 30분에 풍류마당에서 진행된다. 이 자리에서는 내년 7월 부산에서 개최될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성공적인 진행을 기원하는 특별한 퍼포먼스도 함께 펼쳐질 예정이다.





풍류와 솜씨, 잔치가 어우러진 부산의 무형유산 축제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올해 부산종합민속예술제는 네 가지 주요 테마로 진행된다. 테마는 ▲풍류마당 ▲솜씨마당 ▲잔치마당 ▲민속특별전으로 나뉘며, 부산과 영남권의 무형유산 보유자 및 전승자 400여 명이 참여하여 다양한 공연과 시연을 선보인다. 이 축제는 지역 문화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행사이다.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10월 25일 첫날에는 다양한 지역 민속공연이 펼쳐진다. ▲수영야류, ▲동해안별신굿, ▲다대포후리소리, ▲아리랑멋태권도, ▲사하방아소리, ▲부산농악, ▲구덕망깨소리 등 다채로운 공연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어린이 과거시험’과 ‘전통놀이왕 선발전’ 같은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되어 즐거운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10월 26일에는 다양한 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동래고무 ▲울산쇠부리소리 ▲퓨전국악팀 청청 ▲줄타기 ▲다대초등학교 다대포후리소리 ▲좌수영어방놀이 등의 다채로운 무대가 펼쳐진다.

특히 트로트 가수 김수찬의 축하공연이 행사에 활기를 더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부산의 무형유산을 주제로 한 ‘민속 갓 탤런트 경연대회’와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오징어게임 체험’ 등 풍성한 즐길 거리가 마련되어 있다.







한복문화주간 연계, 5천 명 규모 전통체험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올해 개최되는 행사는 '한복문화주간'과 함께 진행되어, 한복과 전통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축제로 발전한다. 약 5천 명이 참여 가능한 대규모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시민들이 더욱 폭넓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먼저, 무형유산 기능 분야에서는 사기장과 전각장 같은 국가 지정 기능 보유자와 함께 전통공예를 직접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통문화 체험은 가족 단위로 참여할 수 있으며, 복주머니와 청사초롱 만들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한복 공예놀이터에서는 한복 장신구 제작과 전통 자수 체험을 통해 참가자들이 직접 한복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행사 현장에서는 100벌의 한복을 무료로 대여해 주어, 방문객들은 포토존에서 특별한 순간을 남길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더불어 ESG 캠페인과 함께 지역 한복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사회적 가치 실천 활동도 진행된다. 행사장 곳곳에는 부산한복상점과 전통 먹거리 체험 부스, 캐릭터 포토존 등이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고 있다.







무형유산 아트페어와 고와예 전시, 문화유산 산업의 미래 제시

2024 부산종합민속예술제

이번 민속예술제에서는 부산의 무형유산 보유자들의 작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무형유산 아트페어’가 함께 진행된다.

더불어 부산의 무형유산 문화상품 브랜드인 ‘고와예(GOWAYE)’의 전시판매 부스도 운영된다.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창의적인 부산형 문화상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24 부산종합민속예술제


체험행사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된다. 스탬프 투어를 완료한 참가자에게는 기념품이 주어진다. 행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부산종합민속예술제 공식 홈페이지(busanfolkartfestival.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론: 부산의 흥과 전통을 잇는 시민참여형 축제

2024 부산종합민속예술제


2025년에 열릴 「부산종합민속예술제」는 전통 예술, 무형 유산, 한복 문화, 시민 체험 등이 조화를 이루는 종합 문화 축제이다. 이 행사는 부산의 전통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로 자리 잡고 있다.

부산시는 앞으로도 무형 유산의 중요성을 널리 홍보하고,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유산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힘쓸 계획이다.

부산시민공원다솜갤러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



#부산종합민속예술제,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 #부산축제, #전통문화축제, #부산가볼만한곳, #아이랑가볼만한곳, #부산주말행사, #부산공연, #무형유산, #부산농악, #수영야류, #동래고무, #다대포후리소리, #부산문화, #부산전통예술, #한복문화주간, #한복체험, #전통체험, #부산포토존, #가족나들이, #트롯공연, #김수찬, #민속공연, #아트페어, #고와예, #부산이벤트, #부산볼거리, #부산문화유산, #전통놀이, #부산주말데이트


자주 묻는 질문(FAQ)

Q.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는 언제 어디서 열리나요?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는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에서 열린다.

부산의 대표 전통문화 축제인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가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부산시민공원 내 다솜광장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다섯 번째 열리는 이 행사는 부산과 영남권 무형유산을 한 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무료 종합축제로,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Q. 이번 축제의 주요 테마와 참여자는 어떻게 구성되나요?
풍류마당, 솜씨마당, 잔치마당, 민속특별전 네 테마로 400여 명의 무형유산 보유자와 전승자가 참여한다.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는 풍류마당, 솜씨마당, 잔치마당, 민속특별전 등 네 가지 주요 테마로 진행된다. 부산과 경남 지역 무형유산 보유자 및 전승자 약 400여 명이 다양한 전통 공연과 시연에 나서며, 지역 전통문화의 가치를 시민들에게 전파하는 중요한 문화행사로 자리매김했다.

Q. 개막식에서 특별히 선보이는 행사는 무엇인가요?
25일 오후 1시 30분 풍류마당에서 개막식을 열고 유네스코 위원회 성공 기원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개막식은 10월 25일 오후 1시 30분 풍류마당에서 펼쳐지며, 내년 7월 부산에서 열릴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는 특별 퍼포먼스가 진행된다. 이는 부산의 무형유산과 문화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

Q. 축제 기간 동안 어떤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이 있나요?
전통 민속공연과 전통놀이왕 선발전, 어린이 과거시험, 트로트 가수 김수찬 공연 등이 준비되어 있다.

첫날에는 수영야류, 동해안별신굿, 다대포후리소리 등 지역별 민속 공연이 이어지고 어린이 과거시험, 전통놀이왕 선발전으로 시민참여형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둘째 날에는 동래고무, 울산쇠부리소리, 퓨전국악 청청, 줄타기 공연과 김수찬의 축하 트로트 무대가 펼쳐져 풍성한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Q. 한복문화주간과 연계된 축제의 특별한 내용은 무엇인가요?
한복문화주간과 함께 한복 장신구 제작, 전통 자수 체험, 100벌 무료 한복 대여 등 체험 행사가 열린다.

이 축제는 한복문화주간과 동시에 열려 참가자들이 한복 장신구 제작과 전통 자수 체험을 할 수 있는 한복 공예놀이터를 조성한다. 현장에서는 약 100벌의 한복을 무료로 대여해 포토존에서 특별한 사진 촬영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전통문화와 한복의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다.

Q. 무형유산 아트페어와 고와예 전시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무형유산 작품 전시 및 판매와 부산형 문화상품 브랜드 고와예 전시로 문화산업 미래를 제시한다.

행사 기간 무형유산 아트페어를 통해 보유자들의 작품을 전시·판매하며, 부산의 전통문화와 현대가 융합된 ‘고와예’ 브랜드 전시부스를 운영한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지역 문화산업의 미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한다.

Q. 참가자들이 체험할 수 있는 전통공예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사기장, 전각장 등 국가 지정 기능 보유자와 함께 전통공예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축제에서는 사기장과 전각장 등 국가 지정 무형유산 기능 보유자들이 방문객과 함께하는 전통공예 실습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가족 단위로 복주머니, 청사초롱 만들기 등 다양한 전통 제작 체험을 통해 전통문화의 가치와 즐거움을 직접 느낄 수 있다.

Q. 행사 참여 방법과 상세 정보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행사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되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025 부산종합민속예술제 체험행사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고, 스탬프 투어 완주자에게 기념품이 증정된다. 행사에 관한 자세한 일정과 프로그램 내용은 부산종합민속예술제 공식 홈페이지(busanfolkartfestival.com)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أحدث أقدم